‘오홀라’와 ‘오홀리바’ 2 (에스겔 23장 22~35절)
(22) 그러므로 오홀리바야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 나는 네가 사랑하다가 싫어하던 자들을 충동하여 그들이 사방에서 와서 너를 치게 하리니 (23) 그들은 바벨론 사람과 갈대아 모든 무리 브곳과 소아와 고아 사람과 또 그와 함께 한 모든 앗수르 사람 곧 준수한 청년이며 다 고관과 감독이며 귀인과 유명한 자요 다 말 타는 자들이라 (24) 그들이 무기와 병거와 수레와 크고 작은 방패를 이끌고 투구 쓴 군대를 거느리고 치러 와서 너를 에워싸리라 내가 재판을 그들에게 맡긴즉 그들이 그들의 법대로 너를 재판하리라 (25) 내가 너를 향하여 질투하리니 그들이 분내어 네 코와 귀를 깎아 버리고 남은 자를 칼로 엎드러뜨리며 네 자녀를 빼앗고 그 남은 자를 불에 사르며 (26) 또 네 옷을 벗기며 네 장식품을 빼앗을지라 (27) 이와 같이 내가 네 음란과 애굽 땅에서부터 행음하던 것을 그치게 하여 너로 그들을 향하여 눈을 들지도 못하게 하며 다시는 애굽을 기억하지도 못하게 하리라 (28)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 나는 네가 미워하는 자와 네 마음에 싫어하는 자의 손에 너를 붙이리니 (29) 그들이 미워하는 마음으로 네게 행하여 네 모든 수고한 것을 빼앗고 너를 벌거벗은 몸으로 두어서 네 음행의 벗은 몸 곧 네 음란하며 행음하던 것을 드러낼 것이라 (30) 네가 이같이 당할 것은 네가 음란하게 이방을 따르고 그 우상들로 더럽혔기 때문이로다 (31) 네가 네 형의 길로 행하였은즉 내가 그의 잔을 네 손에 주리라 (32)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 깊고 크고 가득히 담긴 네 형의 잔을 네가 마시고 코웃음과 조롱을 당하리라 (33) 네가 네 형 사마리아의 잔 곧 놀람과 패망의 잔에 넘치게 취하고 근심할지라 (34) 네가 그 잔을 다 기울여 마시고 그 깨어진 조각을 씹으며 네 유방을 꼬집을 것은 내가 이렇게 말하였음이라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35) 그러므로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 네가 나를 잊었고 또 나를 네 등 뒤에 버렸은즉 너는 네 음란과 네 음행의 죄를 담당할지니라 하시니라
사랑의 하나님, 이 아침에 저희를 깨워주시고 맑은 정신으로 하루를 시작하게 하시니 감사드립니다. 이 시간 ‘하나님과의 회의’를 시작합니다. 회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켜주옵소서. 오직 하나님의 말씀만이 참된 희망임을 깨닫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샬롬! 지난밤 평안하셨습니까? 오늘은 8월 28일 수요일입니다. 이 시간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은 에스겔 23장 22절부터 35절까지입니다. 오늘도 어제에 이어서 ‘오홀라’와 ‘오홀리바’에 대한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하나님은 오홀리바와 부정한 행위를 벌인 그 상대방을 통하여 오홀리바를 심판하시겠다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이 직접 심판하시는 것이 아니라 함께 부정을 저지른 그 상대방을 통해 오홀리바를 심판하시겠다는 것입니다. 얼마나 큰 배신감을 느낄까요? 얼마나 큰 충격을 받을까요? 이로써 오홀리바는 오직 하나님 외에는 믿을 만한 상대가 없음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될 것입니다. 에스겔 23장 22절과 28절 말씀을 읽어보겠습니다. ‘(22) 그러므로 오홀리바야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 나는 네가 사랑하다가 싫어하던 자들을 충동하여 그들이 사방에서 와서 너를 치게 하리니 (28)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 나는 네가 미워하는 자와 네 마음에 싫어하는 자의 손에 너를 붙이리니’ 돈을 좋아하는 자는 돈으로 망하고, 권력을 좋아하는 자는 권력으로 망한다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의지했던 바로 그 대상을 통하여 우리를 심판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아무리 은밀한 곳에서 죄를 저지를지라도 그것을 밝히 드러내시며 그 죗값을 단단히 치르게 하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아무리 작은 유혹이라 할지라도 그것으로 인하여 장차 당하게 될 그 죗값이 얼마나 큰지를 깨닫고 죄의 길에서 돌이켜야 할 것입니다.
오늘의 본문 에스겔 23장 25절과 26절은 그 죄의 값이 얼마나 큰지 이렇게 말씀합니다. ‘(25) 내가 너를 향하여 질투하리니 그들이 분내어 네 코와 귀를 깎아 버리고 남은 자를 칼로 엎드러뜨리며 네 자녀를 빼앗고 그 남은 자를 불에 사르며 (26) 또 네 옷을 벗기며 네 장식품을 빼앗을지라’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끔찍한 죄의 결과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바벨론은 장차 유다의 코와 귀를 깎아 버리고 칼로 그들의 자녀를 죽이며 남은 자를 불에 태워 버릴 것이라고 성경은 말씀합니다. 특히 그중에서도 ‘코와 귀를 깎아버린다’라는 표현은 생각만 해도 너무나 끔찍합니다. 여러분, 죄의 형벌로 코와 귀가 잘린 모습을 한번 상상해 보십시오. 지금 어떤 사람이 지나가는데, 죄의 형벌로 인하여 코와 귀가 잘려있습니다. 그 흉측하고 그 부끄러운 모습을 한번 상상해 보십시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이것이 어떤 상징이 아니라 실제 행위였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바벨론의 군사들은 예루살렘을 점령한 후 이스라엘 백성들의 신체 일부를 절단했습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간통을 저지른 사람의 신체 일부를 절단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당시 앗수르의 법률에도 간통한 사람들의 코를 자르는 법률이 있었다고 합니다. 말하자면 마치 간통한 사람이 그 부정에 대한 징벌로 신체의 일부가 잘리는 것처럼 예루살렘이 의인화되어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또한 ‘코와 귀를 잘린다’라는 것은 사무엘상 5장에 나오는 바로 그 사건, 하나님의 언약궤로 말미암아 블레셋의 다곤 신상(神像)이 머리가 잘리고 두 손목이 끊어진 사건을 연상시킵니다. 하나님의 언약궤 앞에 있었던 그 우상 신은 몸뚱이만 남고 모든 것이 다 잘렸습니다. 마찬가지로 유다의 코와 귀가 잘린다는 것은 유다가 그와 같은 존재로 전락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부름을 받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쓰임 받아야 할 그 거룩한 존재가 이제는 모든 것이 다 잘려서, 우상 신과 같이 우스꽝스럽고 무능력하고 수치스러운 모습으로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들이 앞으로 마셔야 할 잔은 영광과 기쁨의 잔이 아니라, 멸망과 패망의 잔입니다. 본문 에스겔 23장 31절 이하를 보면, 하나님의 심판과 형벌이 포도주의 술잔으로 비유되고 있습니다. ‘네가 네 형의 길로 행하였은즉 내가 그의 잔을 네 손에 주리라 (에스겔 23장 31절)’ 그 술잔은 이미 하나님께서 오홀라, 언니인 사마리아에게 내렸고, 이제는 오홀리바, 동생인 예루살렘에게 내릴 차례라는 것입니다. 오홀리바는 신랑 된 하나님을 떠나서 수많은 이방 남자, 앗수르와 바벨론과 애굽과 바람을 피운 대가로 그 술잔을 기울여 마지막 찌꺼기 한 방울까지 다 마셔야만 했습니다. 이토록 남유다에게 주어질 하나님의 심판은 철저하고 가혹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오늘 우리가 본문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말씀은 에스겔 23장 27절 말씀입니다. ‘이와 같이 내가 네 음란과 애굽 땅에서부터 행음하던 것을 그치게 하여 너로 그들을 향하여 눈을 들지도 못하게 하며 다시는 애굽을 기억하지도 못하게 하리라’ 하나님의 심판 목적은 이스라엘의 완전한 파멸이나 제거가 아니라, 다시 그들을 하나님께 돌이키기 위한 과정이었다는 의미입니다. 비록 지금은 부정한 행실로 인하여 쫓겨나는 여인처럼 보이지만, 하나님은 이를 통해 이 여인 안에 있는 근본적인 문제를 제거하여 더 이상 그들이 이방 신을 바라보지 못하게 하고, 애굽에서의 음행도 기억하지 못하게 하실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포로 된 백성들을 향한 에스겔의 메시지입니다.
하나님의 심판은 너무나 가혹하고 끔찍하지만, 그 ‘심판의 목적은 회복’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모든 죄악에서 돌이키는 것입니다. 모든 음욕과 음행에서 돌이켜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을 구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하나님은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우리에게 경고하십니다. “사랑하는 자녀들아! 이제라도 돌아오라! 이제라도 돌아오라! 돌아오지 않으면 너의 귀와 너의 코를 잘라버릴 것이다! 이러한 심판을 통해서라도 너를 반드시 회복시킬 것이다!”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그 음성 앞에 순종할 수 있는 우리 모두 되기를 바랍니다. 기도하겠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오늘도 하나님의 말씀에 겸손히 무릎을 꿇습니다. 이제라도 돌아오라는 하나님의 음성 앞에 자복하며 나아갑니다.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로마서 3장 10절)’라는 말씀 앞에 그동안 교만했던 모든 일들을 회개합니다. 내 안에 있는 ‘들보’를 볼 수 있는 지혜를 허락하여 주옵소서. 타인의 비판을 겸손히 수용할 수 있는 지혜를 허락하여 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댓글